질문&톡톡

교수님 이번 2023년도에서는 co2 가스계 문제가 설계시공에서 대거 출제되었습니다. 2024년도에는 어떤 큰 주제에서 중점으로 다뤄질까요? 예를 들어 기계는 : 포, 스프링클러, 전기는 : 진리표?? 공부할때 참고사항으로 가져가려 합니다. 화재안전기준은 20점내외로 들어갔는데 다음차시에도 그정도로 배점 될까요?... . 142
  • [함형덕] 2024 소방시설관리사(2차) 화재안전기술기준 및 성능기준 ※24년 1월 직강촬영분
  • 2차시 OT
  • 함형덕
  • 변**
  • 2024-01-09
교수님 이번 2023년도에서는 co2 가스계 문제가 설계시공에서 대거 출제되었습니다. 
2024년도에는 어떤 큰 주제에서 중점으로 다뤄질까요?
예를 들어 기계는 :  포, 스프링클러,    전기는 : 진리표?? 공부할때 참고사항으로 가져가려 합니다. 화재안전기준은 20점내외로 들어갔는데  다음차시에도 그정도로 배점 될까요?... .

댓글을 달아주세요.

함형덕 24-01-09 22:49
1. 기본적인 큰 틀을 가지는 것은 좋습니다. 다만, 제가 말씀드리는 것보다 공부하시는 분들이 종이 한 장을 놓고 한번 써보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 소화설비, 경보설비, 피난설비, 소화용수설비, 제연설비 이외 소화활동설비, 방재안전분야(?)..다시 소화설비를 소화기구, 옥내소화전(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등(물분무, 미분무포함), 포소화설비, 가스계소화설비
2. 그 동안 출제가 없었던 포소화설비를 예로 든다면, 각 특정소방대상물에 따른 포헤드, 포워터, 고정포, 압축공기포, 호스릴, 포소화전의 기본약제량 등, 그리고 헤드수량/위험물법령에 따른 고정포, 보조포, 포모니터, 방유제....
3. 지금부터 해야 될 내용이 많습니다. 지금은 전체적인 내용을 정확히 따지시면서 공부할 때 입니다. 흐름을 잡는 공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합니다. 기술사시험이나 각 이슈등에 따른 그해마다 시험의 특징이 있지만, 지금은 시기적으로 기본적인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공부할 때입니다.
함형덕 24-01-09 22:52
4. 제가 위에서 열거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나하나 하다보면 특징적인 공부보다 내가 조금 더 부족한 부분을 알게 되고 그런 부분을 채워나아갈 때 비로소 내가 좀 더 잘할 수 있는 부분의 강점을 가져가게 됩니다.
5. 올 해 시험의 특징은 난이도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많은 분들이 실수를 하신 것입니다.
6. 끝으로 저의 올해 설계시공의 공부방법은 많은 공부를 하기보다는 실수를 줄이는 쪽으로 공부하실 것을 추천합니다.
닫기 고정
  1. 이벤트
    이벤트
    11
  2. 문제복원
    문제복원
  3. 정오표
    정오표
  4. 합격수기
    합격수기
  5. 수강평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