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톡톡

안녕하세요 교수님지난번 올려주신 상세한 설명답글과 유튜브 자료덕에 천장 속 이중천장 배선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음에 감사합니다.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취득 후 기계분야 그리고… 240
  • [오민정] 2024 소방설비(산업)기사(실기/전기/이론)
  • PART 01. CHAPTER 04. 소화활동설비ㅣ무선통신보조설비 [ 질문위치 : 28분 51초 ]
  • 오민정
  • 김**
  • 2024-06-10

안녕하세요 교수님 지난번 올려주신 상세한 설명답글과 유튜브 자료덕에 천장 속 이중천장 배선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었음에 감사합니다. 

 

이제 슬슬 속도가 붙어 이론 3회독 정독중에 있습니다.(이론 5회독 정독하고 과년도 7개년으로 넘어갈 계획입니다.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 취득 후 기계분야 그리고 소방시설관리사 소방기술사까지 모아와 함께할것입니다.

 

지금 휴직중이긴 하지만 소방 점검하는 일 하고있고 자격증 공부를 하게되면서 점점 소방이 재미있어지기 시작하여 소방시설의 한 책임자가 되고 싶습니다.

 

해서 오늘도 조금 깊게 들어가기 위해 지엽적인 질문을 드릴까 합니다. 

 

변형문제까지 생각해보다 누내자절특사를 주어주고 반대로 약호를 찾아쓰라 라는 문제가 변형되어 나올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LCX- FR- SS- 20- D- 14- 6 안보고도 말할수 있을정도로 외워버렸습니다. (출제위원들의 뇌구조를 알 수가 없어서 정말 악하다 할 출제위원은 출제하지 않을까 하는 노파심에서 ㅜㅜ)

 

그리고 저게 무엇의 약자인지 문득 궁금하게 되어 구글링 돌리던 중 LCX부터 SS까지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찾아냈는데 20부터 D 14 6까지 부분의 내용은 상세한 설명을 찾을수가 없네요 구글링 했을땐 6번의 결합손실표시를 7번으로 설명해놓은 것도 있고 절연체 외경 20과 특성임피던스 D를 붙여서 20D라고 표현한 곳도 있네요.

 

누설동축케이블의 용어에 대해 큰 틀부터 지엽적인 부분까지 정리 부탁드리겠습니다

 

재밌게 외우려고 나름 만들어봤는데( 알파벳 J K L M N 할때 M 전의 L)

L(M)C 가 동작하지 X 하면 FR(플리커릴레이) SS(셀렉터스위치)도 동작하지않는다.

지름이 20D인 크림빵을 14살 형과 6살 동생이 나눠먹는다.

 

이렇게 외웠습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

오민정 24-06-14 16:17
안녕하세요 김형진님 오민정입니다 :)

질문에대한 답변에 첨부해드릴 사진을 찾느라 조금 늦어졌습니다.
많이 기다리셨죠 :)

우선,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가 끝이 아닌, 연관자격증과 상위자격증까지 목표로 삼으신점에대해 형진님의 앞날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점점 소방이 재미있어지셨다면, 자격증 준비만하시는 분들보다 좀 더 지엽적인부분들이 궁금해지기마련이죠.

해당문제또한 과거에 출제가 되었다가 최근에 한번 더 출제된 문제네요 :)
말씀하신대로 출제위원들이 어떤 문제를 어떻게 변형하여 출제할지 모르기때문에
최대한 과거에 출제된 문제를 어렵게 스스로 변형해서 풀어보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오민정 24-06-14 16:17
누설동축케이블을 하나씩 뜯어보면, 내부도체 - 절연체 - 내열층 - 외부도체 / 슬롯 - 외피로 이루어져있으며,
그 아래에는 누설동축케이블을 지지해주는 지지선이 있습니다.

누설동축케이블 LCX Cable의 단면도와 내부구성을 사진으로 첨부해드릴테니 확인해주세요 :)

이때 20은 누설동축케이블의 절연체 외경을 말합니다.
(절연체란? 열에 대한 저항이 매우 커서 열이 전달되지 않는 물질.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가 발생하였을때 열에 강하게 버텨야함.)


특성임피던스는 전기회로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전기신호를 전달하는데 얼마나 잘 전달을 하는지, 전송선로와 신호원사이의 '일치도'이며 이를 나타내는 용어라고 생각을 해주세요 :
오민정 24-06-14 16:17
추가적으로, 14의 용어는 누설동축케이블의 사용주파수를 나타냅니다.
무선통신보조설비용 누설동축케이블은 원칙적으로 소방전용의 시설이어야하죠.
따라서 소방전용 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과 복사에 적합하여야하다는 점을 생각해주세요 :)
(보통 소방전용으로 사용하는 무전기의 주파수 대역폭은 440~450MHz입니다)

마지막으로 누설동축케이블에서 사용하는 용어 마지막 [6]은 결합손실표시를 나타내는것입니다 :)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분배기, 분파기, 증폭기, 혼합기, 급전선, 누설동축케이블, 커넥터의 접속부분에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자연계에서는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부분은 없지요)
이를 나타내는 용어라고 생각해주시면됩니다 :)
오민정 24-06-14 16:19
추가적으로, 누내자절특사를 거꾸로 출제하였을 시 기억에 남을 수 있는
좋은 암기법을 남겨주셔서 진심으로 감사의인사를 드립니다!!
향후 리뉴얼되는 강의에 형진님의 암기법 적용하도록하겠습니다 :)
본인의 발전과 문제에대한 변형, 심도있는 질문 거기다가 스스로 만든 암기법까지
남겨주셔서 항상 감사히 여기고있습니다 :)

또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톡톡 남겨주세요!!
형진님의 합격을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닫기 고정
  1. 이벤트
    이벤트
    11
  2. 문제복원
    문제복원
  3. 정오표
    정오표
  4. 합격수기
    합격수기
  5. 수강평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