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톡톡

28 page 에 2.2.1.14'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적합 기준 이라는 이 기준은 충압펌프에 해당하는 내용인지요? 그 앞 본문인 2.2.1 에서는 "주펌프는 전동기에 따른 펌프로 한다"고 하였으니, 2.… 112
  • [김정희] 2024 소방시설관리사 뇌박힘 화재안전기술기준
  • 옥내소화전 수원
  • 김정희
  • 김**
  • 2024-01-24
28 page 에 2.2.1.14'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적합 기준 이라는 이 기준은 충압펌프에 해당하는 내용인지요? 그 앞 본문인 2.2.1 에서는 "주펌프는 전동기에 따른 펌프로 한다"고 하였으니, 2.2.1.14는 충압펌프를 내연기관으로 사용하는 경우로 해석하면 되는지요?

 

근데 , 내연기관의 연료량에 대한 규정이 별도로 있어  이것이 이것이 주펌프의 해당 내용인지? 충압펌프에 해당하는 

내용인지  혼돈스럽습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

김정희 24-01-24 16:03
안녕하세요
펌프에는 주펌프, 예비펌프, 충압펌프가 있습니다.
주펌프는 전동기에 의한 펌프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내연기관에 의한 펌프는 주펌프로 사용할 수 없다는 의미입니다.
충압펌프는 전동기에 의한 펌프만 사용합니다. 내연기관에 의한 펌프 즉 엔진펌프는 충압펌프에 적응성이 없다고 보시면 되세요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펌프는 "옥상수원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와 "고층건축물"에 있어서 예비펌프로 설치합니다.
엔진펌프는 고가이며 신뢰도가 떨어지고 유지관리가 어렵지만 엔진펌프의 축전지가 비상전원으로 인정되기 때문에 자가발전기와 같은 비상전원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 실무에서 엔진펌프를 예비펌프로 주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주펌프- 전동기에 의한 펌프, 충압펌프- 전동기에 의한 펌프, 예비펌프- 엔진펌프 또는 비상전원이 연결된 전동기에 의한 펌프
입니다
감사합니다.
닫기 고정
  1. 이벤트
    이벤트
    11
  2. 문제복원
    문제복원
  3. 정오표
    정오표
  4. 합격수기
    합격수기
  5. 수강평
    수강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