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톡톡

안녕하십니까. 화재안전기준 2022년 교재 p.56을 보면,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른 드렌처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개구부에 한하여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나옵니다. 하지만, 드렌처설비의 설치기준이 다소 부족한 것 같아서, 화재안전기준의 다른 부분에서 다루고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제15조 제2항에는 드렌처헤드의 설치 위치, 간격, 제어밸브의 설치높이, 드렌처설비 수원의 수량, 헤드선단 방수압, 1,588
  • [함형덕] 소방시설관리사(실기) 화재안전기준 ※21년 10월 직강촬영분
  • 12차시 Chapter 1.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3) 22. 습식스프링클러설비
  • 함형덕
  • 조**
  • 2022-01-02
안녕하십니까. 화재안전기준 2022년 교재 p.56을 보면,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에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른 드렌처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해당 개구부에 한하여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나옵니다.

하지만, 드렌처설비의 설치기준이 다소 부족한 것 같아서, 화재안전기준의 다른 부분에서 다루고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제15조 제2항에는 드렌처헤드의 설치 위치, 간격, 제어밸브의 설치높이, 드렌처설비 수원의 수량, 헤드선단 방수압, 방수량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만,

최대방수구역, 1개의 제어밸브에 연결되는 헤드의 수 혹은 기준개수에 대한 내용을 쉽기 알기가 어려워서 문의드립니다.

어느부분을 참고하면 될까요?

항상 감사합니다.

댓글을 달아주세요.

함형덕 22-01-03 22:07
드렌처의 경우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의 건축적 이해가 필요합니다. 방화구획의 구조적부분이 어려울 때, 설비적 대책으로 일종의 수막의 개념으로 설치하는 것이 드렌처설비 입니다. 소방시설이지만, 기능은 건축설비에 가깝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세부적인 기준은 전용헤드로서 드렌처헤드를 이해하시면 되며, 나머지의 성능기준은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를 기준으로 설치기준을 적용하시면 됩니다.
닫기 고정
  1. 이벤트
    이벤트
    11
  2. 문제복원
    문제복원
  3. 정오표
    정오표
  4. 합격수기
    합격수기
  5. 수강평
    수강평